728x90
반응형
SMALL

실무엑셀 54

엑셀 함수 98: EDATE 함수 – 기준 날짜에서 몇 달 전/후 날짜 계산

엑셀 함수 98: EDATE 함수 – 기준 날짜에서 몇 달 전/후 날짜 계산EDATE 함수는 특정 날짜를 기준으로 지정한 개월 수 이전이나 이후의 날짜를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. 월 단위로 계약일, 갱신일, 납기일 등을 자동 계산할 수 있어요.✅ 함수 형식=EDATE(시작일, 개월수) 시작일: 기준이 되는 날짜 또는 셀 개월수: 양수(이후), 음수(이전)📌 예제 =EDATE("2025-06-01", 3) → 2025-09-01 =EDATE(A1, -6) – A1에 입력된 날짜로부터 6개월 전 계산💼 실무 활용 예시 계약 시작일 기준으로 갱신일 자동 계산 정기 납부일, 회비 일정 계산 자동화 출산 예정일, 서비스 유효기간 등 월 단위 일정 처리

엑셀 2025.06.18

엑셀 함수 97: TRIM 함수 – 문자열 앞뒤 공백 제거하기

엑셀 함수 97: TRIM 함수 – 문자열 앞뒤 공백 제거하기TRIM 함수는 문자열의 앞뒤 및 중간에 있는 불필요한 공백을 제거하여 깔끔한 텍스트로 만들어줍니다.✅ 함수 형식=TRIM(텍스트) 텍스트: 공백을 제거할 문자열 또는 셀 참조📌 예제 =TRIM(" 홍 길 동 ") → "홍 길 동" =TRIM(A1) – A1 셀의 앞뒤 공백 제거💼 실무 활용 예시 외부에서 복사해온 데이터의 불필요한 공백 정리 주소나 이름 데이터의 공백 오류 수정 데이터 비교, 정렬 전에 공백 문제 해결

엑셀 2025.06.16

엑셀 함수 96: CONCAT 함수 – 여러 텍스트를 하나로 합치기

엑셀 함수 96: CONCAT 함수 – 여러 텍스트를 하나로 합치기CONCAT 함수는 여러 셀이나 텍스트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결합합니다. 이전 버전의 CONCATENATE 함수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✅ 함수 형식=CONCAT(텍스트1, 텍스트2, ...) 텍스트1, 텍스트2, … : 합치고자 하는 텍스트나 셀 참조📌 예제 =CONCAT(A1, " ", B1) – A1과 B1의 내용을 공백 한 칸을 사이에 두고 합침 =CONCAT("서울", "-", "강남") – "서울-강남"이라는 결과 생성💼 실무 활용 예시 이름과 성을 분리한 데이터를 하나의 필드로 합칠 때 주소, 전화번호 등 여러 정보를 하나의 셀에 보기 쉽게 표시할 때 보고서 작성 시 다양한 문자열 조합 작업에..

엑셀 2025.06.16

엑셀 함수 95: FORMULATEXT 함수 – 셀에 입력된 수식을 텍스트로 표시하기

엑셀 함수 95: FORMULATEXT 함수 – 셀에 입력된 수식을 텍스트로 표시하기FORMULATEXT 함수는 지정한 셀에 입력된 수식 자체를 텍스트로 표시해 줍니다. 수식 관리나 오류 확인, 문서화 작업 시 매우 유용합니다.✅ 함수 형식=FORMULATEXT(셀_주소) 셀_주소: 수식이 입력된 셀 참조📌 예제 =FORMULATEXT(A1) – A1 셀에 입력된 수식을 텍스트로 보여줌 수식: A1 셀에 =SUM(B1:B10)이 입력되어 있으면, FORMULATEXT(A1)은 "=SUM(B1:B10)" 반환💼 실무 활용 예시 수식 복사 없이 수식 내용 확인 및 공유 수식 작성 오류 점검 및 문서화 복잡한 보고서 작성 시 수식 설명 자료로 활용

엑셀 2025.06.16

기초 함수 #94: FIND 함수 – 텍스트 내 특정 문자 위치 찾기

기초 함수 #94: FIND 함수 – 텍스트 내 특정 문자 위치 찾기FIND 함수는 지정한 텍스트 내에서 특정 문자나 문자열이 시작하는 위치(숫자)를 반환합니다. 대소문자를 구분하며, 찾지 못하면 오류를 반환합니다. 실무에서 텍스트 분석이나 분리 작업에 자주 쓰입니다.✅ 함수 형식=FIND(찾을_문자, 텍스트, [시작_위치]) 찾을_문자: 찾고자 하는 문자나 문자열 텍스트: 검색 대상 텍스트 시작_위치 (선택): 검색 시작 위치, 기본값 1📌 예제 =FIND("n", "Banana") → 2 (첫번째 'n' 위치) =FIND("na", "Banana") → 4 ('na' 시작 위치) =FIND("a", "Apple", 2) → 4 (2번째 문자부터 'a' 위치 찾기)💼 실무 활용 예시 문..

엑셀 2025.06.16

기초 함수 #93: EXACT 함수 – 두 텍스트가 정확히 일치하는지 비교하기

기초 함수 #93: EXACT 함수 – 두 텍스트가 정확히 일치하는지 비교하기EXACT 함수는 두 텍스트가 대소문자까지 완벽하게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합니다. 실무에서 데이터 일치 여부 확인에 매우 유용합니다.✅ 함수 형식=EXACT(text1, text2) text1: 비교할 첫 번째 텍스트 text2: 비교할 두 번째 텍스트📌 예제=EXACT("Apple", "apple") → FALSE (대소문자 구분)=EXACT(A1, B1) → A1과 B1의 텍스트가 같으면 TRUE, 아니면 FALSE💼 실무 활용 예시 대소문자 구분이 필요한 사용자 아이디, 암호 등 데이터 비교 두 데이터셋의 텍스트 값 정확성 점검 데이터 정합성 검토 및 오류 찾기

엑셀 2025.06.16

기초 함수 #92: ISFORMULA 함수 – 셀에 수식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

기초 함수 #92: ISFORMULA 함수 – 셀에 수식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ISFORMULA 함수는 특정 셀에 수식이 들어있는지 TRUE 또는 FALSE로 알려주는 함수입니다. 실무에서 데이터 검증이나 보고서 작성 시 오류를 줄이고, 수식 누락 여부를 쉽게 확인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.✅ 함수 형식=ISFORMULA(셀주소)📌 예제 셀 A1에 수식이 있는지 확인하려면: =ISFORMULA(A1) 결과가 TRUE면 수식 있음, FALSE면 수식 없음💼 실무 활용 예시 대용량 데이터 시트에서 수식 누락 오류 검출 수식 복사 후 참조 오류 점검 보고서 자동화 시 수식 유무 조건 처리

엑셀 2025.06.16

엑셀 함수 #83: COLUMN 함수 – 셀의 열 번호를 확인하는 방법

83. COLUMN 함수 기능: 특정 셀 또는 수식이 입력된 셀의 열 번호를 반환합니다. 🔹 사용법 =COLUMN([reference]) reference: (선택 사항) 열 번호를 확인할 셀 주소. 생략 시 현재 셀 기준 🔹 예제 =COLUMN(A1) → 결과: 1 =COLUMN(D10) → 결과: 4 =COLUMN() → 결과: 현재 셀의 열 번호 🔹 실무 활용 팁 동적 범위 계산 시 열 위치 확인 INDEX, OFFSET 함수와 함께 자동화 수식 구성 다중 열 처리 시 반복 구문 만들기 🔹 주의사항 열 번호는 A=1, B=2, ..., Z=26 순서로 반환됨 행 번호는 ROW 함수를 사용

엑셀 2025.06.12

엑셀 함수 #82: FLOOR 함수 – 숫자를 원하는 배수로 내림 처리하기

82. FLOOR 함수 기능: 지정한 배수로 숫자를 내림(버림)합니다. 🔹 사용법 =FLOOR(숫자, 배수) 숫자: 내림 처리할 대상 숫자 배수: 내림 기준이 될 수 🔹 예제 =FLOOR(17, 5) → 15 =FLOOR(43.7, 0.5) → 43.5 =FLOOR(125, 50) → 100 🔹 실무 활용 팁 할인 금액 계산 시, 10원 단위로 정리 정해진 포장 단위 수량 계산 시간, 분 단위를 특정 단위로 정렬할 때 🔹 주의사항 숫자와 배수가 부호(양수/음수)가 다르면 오류 발생 양수 → 양수 배수, 음수 → 음수 배수로 사용해야 함

엑셀 2025.06.11

엑셀 함수 #81: CHOOSE 함수 – 값 목록에서 번호로 항목 선택하기

81. CHOOSE 함수 기능: 번호에 따라 지정된 값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. 🔹 사용법 =CHOOSE(인덱스번호, 값1, 값2, 값3, ...) 인덱스번호: 선택할 항목의 번호 값1, 값2, ...: 선택지로 사용할 항목들 🔹 예제 =CHOOSE(2, "봄", "여름", "가을", "겨울") → "여름" =CHOOSE(1, 10, 20, 30) → 10 =CHOOSE(A1, "A등급", "B등급", "C등급") → A1이 3이면 "C등급" 🔹 실무 활용 팁 점수에 따라 등급 지정 요일 번호로 요일 이름 출력 월별 계획 자동 표시 (1 → 1월 계획, 2 → 2월 계획) 🔹 주의사항 인덱스번호는 1 이상이어야 합니..

엑셀 2025.06.11
728x90
반응형
LIST